▶ 초급 - 중급 일렉트릭 기타 제작 커리큘럼 (1학년) | ||||
Body | Neck | Finish(Painting) | Electronic | Assembly |
도면그리기, 각종지그만들기, 넥 외형 가공, 트러스로드, 머신해드홀 가공, 지판만들기 및 접착, 프렛 슬롯, 포지션 마크, 레디우스, 가공 | 피니쉬의 종류 이해와 실습, Wet 샌딩과 버핑 | 피크가드 제작, Wiring Diagram 이해 및 픽업 장착 | 피크가드 장착, 브릿지 장착, 미신헤드 장착, 프렛드레싱및 버핑, 너트가공, 브릿지 셋업, 스트링 액션, 픽업 높이 조정, 인토네이션, Final 버핑및 폴리싱 |
▶ 고급 일렉트릭 기타 제작 커리큘럼 (2학년) | |||
나만의 기타 또는 베이스 기타 만들기 | 나만의 디자인과 사운드 컨셉을 정한 후 악기 제작하기 | 픽업의 이해 및 내가 원하는 사운드를 위한 자작 픽업 만들기 | 내가 만든 악기로 연주하며 톤 이해하기 |
▶ 통기타(어쿠스틱) 제작 커리큘럼 | ||
Body Assemble 상판&후판 Join 상판&후판 접착 상판&후판&Rosette&Centering hole 가공 Sound hole 가공&Rosette 상감 최종 두께의 상판&후판 가공 Tone Wood에 대한 이해 상판&후판의 최종 두께에 대한 이해 Top X-Bracing에 대한 이해 상판 braces X-braces Wing braces Tone Bars braces Shoulder braces Sound hole braces Shoulder Graft Bridge plate Braces후판에 대한 이해 Back braces |
Back graft 상판&후판 가공 및 Braces 제작 Head&End block 제작 측판 가공 측판 두께 가공 및 성형 측판에 Head&End block 접착 Sanding 및 kerfing 접합 Side Braces 제작 및 접합 상판&후판&측판 완성(Boxing) 표면정리 및 가공 Binding & Perfling Slot 가공 및 접착 Neck Cut out Neck profile Peghead Angle&디자인 Truss rod slot 만들기 Truss rod 종류와 이해 Tennon 만들기 DoveTail& Balt on Join에 대한 이해 Truss rod 장착 |
Fretboard 만들기 Fret Slot&Radius 만들기 Neck& Fretboard 접합 Peghead overlay veneer 접합 Fret job(Fret end 가공) Neck Heel, cap, Shape Brige 접합 Pre assembly Neck angle & Center line Finishing Sanding & Spray clear coats Wet sanding & Buffing Final assembly Fret dressing & hand buffing & Peghead tuner 장착 & string tuning Guitar repair Refretting Nut & saddle 가공 기타 도면 제작 |
▶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현악기 제작과정 | ||
‘바이올린(violin)’이라는 명칭은 중세 라틴어 ‘vitula’에서 왔다. ‘현악기’라는 의미의 이 단어는 독일어로 ‘피들(fiddle)’이라는 뜻으로, 바이올린이라는 악기명과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 바이올린은 1550년경 이탈리아 크레모나 지방에서에서 바이올린의 고전이라 할 수 있는 악기가 나왔는데, 최초의 발명자라 할 수 있는 제조가와 정확한 발명시점은 정확하지가 않다. 단지 ‘스트라디바디’라는 바이올린 제작자의 이름과 형태의 대명사격인 모델이 이곳에서 출시되었다. 16세기 전반에 북이탈리아의 브레시아와 크레모나 등의 악기 제작자가 당시 사용되고 있던 현악기를 개조하여 만든 것이라 한다. 크레모나 지역은 오늘날 많은 바이올린 제작 학교를 가지고 있는곳으로도 유명하며, 오늘날과 같이 G,D,A,E의 4개의 현으로 된 것은 1550년 무렵이다. 현대에도 제작자의 제작 스타일에 따른 세부적인 차이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인 바이올린 구조는 약 400년 동안 거의 변함이 없다. | ||
▶ 현악기 제작과정 | ||
1. 바이올린body 도면그리기 및 가공 |
8. 헤드와 넥의 제작 및 가공 9. 핑거보드의 측량 및 결합 10. 몸통과 넥의 결합 및 스크롤 손질 11. body 샌딩작업 및 건조 12. 1차 핸드 바니쉬 작업 및 자연건조 13. 2차 핸드 바니쉬 작업 및 자연건조 14. 수차례의 바니쉬 작업 후 자연건조 숙성단계 15. 최종검수 및 세팅 |